본문 바로가기
한국 영화 리뷰

[ 영화 리뷰 / 결말 ] 클래식 - 세대를 뛰어넘는 로맨스

by 까꿍봉봉 2022. 9. 29.
728x90
반응형

클래식
클래식 포스터

 

시간이 흘러도 내 마음속 클래식 이야기

 대학생인 지혜(손예진)와 그녀의 친구 수경(이주은)은 같은 대학 연극부 선배인 상인(조인성)을 짝사랑하고 있다. 수경은 상민에게 먼저 적극적으로 호감을 표시하게 되고, 지혜에게 연애편지를 대신 써달라고 수경은 부탁하게 된다. 그 편지에 지혜는 자신의 마음을 대신 고백하게 되는데.. 이 계기로 둘은 사귀게 된다.

 

 고백 한번 해보지 못하고 속앓이를 하던 지혜는 새로 이사 온 집에서 우연히 엄마 주희(손예진)가 간직하고 있던 상자를 발견하고, 상자 속 일기와 편지들을 보게 된다. 젊은 시절의 엄마가 궁금했던 지혜는 아빠의 이름으로 엄마에게 보낸 편지를 보는데, 아빠의 이름이 아닌 준하(조승우)라는 이름의 편지를 보게 된다. 엄마의 일기에도 준하라는 사람의 이야기가 빼곡히 적혀있고, 아빠가 아닌 남자의 사진도 발견한다.

 

 1968년 어는 여름날 준하(조승우)는 방학이라 외삼촌 집으로 놀러 와 물놀이를 하던 중, 이곳에 놀러 온 국회의원의 딸 주희(손예진)를 만나게 된다. 주희의 제안으로 강 건너 귀신의 집에 놀러 가는데, 소나기가 내려 타고 온 배가 떠내려간다. 비를 피해 오두막에서 함께 보낸다. 이 일로 주희는 곧장 시골을 떠나고 준하도 방학이 끝나고 수원의 고등학교로 돌아가며 헤어지게 된다. 준하는 그때의 추억을 잊지 못하고 있는데, 가장 친한 태수(이기우)의 연애편지를 대신 써주던 주하는, 상대방이 태수의 약혼녀이고, 그 사람이 주희임을 알고 충격을 받는다. 준하의 마음을 모르는 태수는 주희의 학교 축제 초대권을 주고, 주희의 학교에 방문하게 된다. 이후 태수 몰래 만남을 갖던 둘은 태수에게 미안함에 사실을 고백한다. 태수는 주의가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 것을 알고 둘의 사랑을 응원한다. 둘은 편지를 보내며 사랑을 쌓던 중 빗물로 인해 주소지가 지워져 편지 1통이 반송되면서, 태수의 아버지가 알게 된다. 태수의 아버지는 주희가 국회의원의 딸이라는 이유로 절대 포기할 수 없어 태수에게 심한 폭력과 억압한다. 그로 인해 태수는 괴로움에 자살을 시도한다. 이 사실은 안 준하는 주희를 포기하기로 결심하고, 졸업 후 군대에 입대하여 월남 파병을 가게 된다. 태수에게 이 사실은 들은 주희는 입영열차에 찾아가 준하에게 목걸이를 주며, 살아 돌아오라고 외친다. 준하는 월남전에서 퇴각하던 중 목걸이를 잃어버려 찾으러 다시 전장으로 돌아간다. 목걸이를 찾고 헬기가 있는 곳으로 돌아오던 중 눈앞에 폭탄이 떨어진다. 몇 년 후 우연히 주희와 재회한 준하는 자신이 결혼했으니 행복하게 살라고 한다. 주희는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는데 아랑곳하지 않고 미소를 띤다. 이상하게 여긴 주희는 준하의 눈앞에 손을 갖다 대는데.. 준하는 폭탄 파편에 눈이 실명된 것이다. 들키지 않으려 전날에 와서 동선을 익혔지만, 숨길 수 없었다. 준하의 쓸쓸한 이별 통보로 헤어지게 된다. 몇 년 뒤 집안끼리 약속대로 태수와 결혼하게 된다. 주희가 결혼한 뒤 준하는 결혼을 하고, 아들을 남기고 3년 후 준하는 사망한다. 주희와 처음 만났던 강에 준하의 유해가 뿌려지며 주희는 오열한다.

반응형

 지혜는 엄마의 사랑이 어딘가 모르게 자신과 닮아 있다고 생각했다. 어느 날 우연찮게 상민이 수경에게 보낸 편지를 보게 된다. 자신에게 마음이 없다는 걸 확신하고 지혜는 의도적으로 상민을 잊으려 상민을 피해 다린다.

 

 그러던 어느 비 오는 날, 우산이 없어 지혜는 나무 밑으로 비를 피하러 가는데, 상민도 지혜와 마찬가지로 우산이 없어 비를 피하러 온다. 상민을 피해 도망가려 했지만, 상민이 재킷을 벗어 도서관까지 바래다준다.

 며칠 뒤 학교 매점에서 매점 언니와 얘기하던 중 상민에게 우산을 받았다는 얘기를 듣게 된다. 창밖을 보다 매점 언니에게 우산을 주고 자기는 비를 맞으러 갔다는.. 지혜는 상민의 마음을 짐작하고 매점 언니에게 우산을 주고 비를 맞으며 연극부로 달려간다. 상민은 “우산이 있는데 왜 비를 맞고 다니냐”라고 지혜에게 물었고, 그런 지혜는 “우산이 있는데 비를 맞는 사람이 어디 나뿐이냐”라며 상민에게 매점에 두고 간 우산을 돌려준다. 상민은 지혜에게 고백하게 된다. 우산을 버려두고 비를 피해 지혜가 있던 나무 밑으로 간 것, 수경이에게 보낸 편지도 우연이 자기편이면 이 편지가 수경이 아니라 지혜에게 갔으면 했던 것이었다. 예전부터 상민도 지혜를 좋아하고 있었고, 멀어질까 고백을 못 하고 있었다고 용기를 내 고백한다. 그렇게 가까워진 둘은 준하의 유해가 뿌려진 강가로 데이트를 간다. 지혜는 그곳에서 엄마의 사랑 이야기를 상민에게 하는데, 상민은 그 이야기를 듣고는 울음을 터트린다. 상민은 지혜에게 자신의 목걸이를 벗어준다. 그 목걸이의 주인은 주희였고, 이야기 속의 그 남자는 상민의 아빠였던 것이다.

 

나만의 베스트 영화 클래식

 클래식을 처음 본 것이 중학생 때였던 거 같다. 별생각 없이 영화관에 개봉한 것 중에 한편을 본 거였다. 영화를 보는데 영상미와 음악이 너무 좋았다. 어릴 적이라 뭐가 그렇게 좋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화를 보고 와서도 티브이에서 클래식이 나오면 본 걸 또 보고 또 보고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12역을 한 것도 생소했던 시절이었던 같다. 손예진의 이름을 각인시켜줬던 영화이고, 손예진의 대표 영화이기도 하다. 영화에서 나온 음악을 들으면 그 장면이 생각날 만큼 찰떡이었던 거 같고, 스토리 또한 파격적이었다. 이룰 수 없었던 사랑을 자식들이 한다는 자체가 충격적이었다. 보고 있으면 마음이 몽글몽글해지는 영화가 요즘은 잘 안 나와서 아쉽지만, 그만큼 아직도 회자되는 클래식이 잘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